Select Page

PRODUCT CATEGORIES

少太山의 마음공부 온 ・ 생 ・ 취

$17.00

Author: 최정풍 교무 (지음), 소태산 마음학교 (엮음) / Korean Edition / Pages: 328 / Paperback
Won Symbol

OVERVIEW

Won Symbol  DETAILS  Thin Line

AUTHOR

최정풍 교무 (지음),  소태산 마음학교 (엮음) 

PAGES

328 pages

PUBLISHER

도서출판 마음공부

ISBN-13

979-1195586073

LANGUAGE

Korean

PUBLICATION DATE

December 30, 2019

PRODUCT DIMENSIONS

6.8 (W) * 8.3 (H) * 0.8 (D), inches

Won Symbol  DESCRIPTION  Thin Line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자.’ 온전한 생각은 무엇이고, 그것을 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 온·생·취 마음공부를 톺아볼 수 있는 책이 발간됐다.

최정풍 원불교신문사장이 발간한 이 책은 수많은 경계 상황 속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소태산 대종사의 대표적 대안인 ‘온·생·취’ 마음공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소태산 수행론의 핵심인 삼학(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 공부를 일상생활 속에서  할 수 있도록 한, 상시훈련법 가운데 하나인 상시 응용 주의사항 1조의  ‘응용하는 데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기를 주의할 것이요’를 주제 삼았다. 

저자는 온·생·취 마음공부를 택한 이유에 대해 “현대인들은 물론 미래사회를 살아갈 사람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다. 선과 명상 그리고 수행이라는 이미지는 정적이고 출세간적이다”라며 “일과 공부는 엄연히 나뉘어 있고, 구체적 삶은 현장 수행의 장이 되지 못하고 있다. 소태산은 그 경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분법과 분별을 녹여내기 위해서는 그 중심에 온·생·취 마음공부가 있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이 책은 주로 정전과 대종경을 중심으로 내용을 재구성했으며, 교정원 문화사회부 ‘문화가 있는 날(원데이)’의 출간 지원을 받았다. 소태산 마음공부의 친절한 안내서이자 교육·훈련의 교재로 활용하기 좋은 『온·생·취』는 가독성 좋은 글체와 크기, 곳곳에 배치한 삽화도 눈에 띈다. 저자는 “부끄럽기 짝이 없는 성과물이지만 새로운 시작의 의미로 용기내서 자료를 엮었다”라며 “어려운 여건에도 소리없이 함께해준 많은 동지와 후원자들에게 감사를 전하며, 이 책이 마음공부 사회화에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한다”라고 밝혔다.

(신문 기사 – [바로가기] 이 한권의 책/ 소태산 마음공부 온 ・ 생 ・ 취, 2/14/2020, 원불교신문)

 

* 마음공부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상시응용주의사항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원불교에 대한 이해,  원불교 대사전에서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소태산 대종사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원불교 전서 내용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원불교 경전법문집 –  [바로가기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 온 ・ 생 ・ 취 프로그램, 4/26/2017, 한울안신문)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원불교 용어, 상시응용주의사항 6조, 10/30/2015, 원불교신문)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원불교 용어, 교당내왕시주의사항 6조, 11/06/2015, 원불교신문)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행복한 대화, 행복한 인생, 04/15/2016, 원불교신문)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소태산 마음학교 – 부부 마음 산책, 04/06/2018, 원불교신문)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5주 마음공부로 달라진 직장 문화, 06/26/2015, 원불교신문)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교법 생명력 갖춘 지속 가능한 프로그램, 12/05/2014, 원불교신문)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교리문답, 백인혁 영산선학대학교 총장 –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 지도인의 문답공부가 훈련의 시작, 7/12/2019, 원불교신문)

Won Symbol  ABOUT THE AUTHOR  Thin Line

  • 균산 최정풍 교무

원광대 원불교학과 졸업, 중앙대 교육학 석사

원불교 전곡교당 주임교무, 노인전문 요양원 은혜마을 원장, 연천군 청소년 지원센터장, 원불교 정책연구소장, 대전충남교구 교구장 역임했고, 소태산 마음학교를 개설했다.  

2020년 현재 원불교신문사 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 소태산 마음학교 소개

소태산 대종사는 현대 문명의 눈부신 발달로 우리 인류가 편리함과 혜택을 누리는 동시에 엄청난 위기를 가져 왔다고 진단하였습니다. 또한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의 조화가 우리가 이뤄가야 할 ‘참 문명 세상’의 전제라는 것은 한 종교인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적확한 예견입니다.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그의 선언은 새로운 정신문명을 촉구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에 소태산 마음학교에서는 소태산 박중빈(서기1891-1943) 대종사의 가르침을 배우고 체험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그가 제시한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염원한 정신개벽은 쉽게 말하면 마음공부이며, 구체적인 훈련 프로그램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우주만유가 ‘서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인연 관계로 맺어져 있다는 ‘은’(恩)의 세계관‘은 우주만물을 모두 존귀한 부처님으로 대하는 처처불상(處處佛像 ∙ 곳곳이 부처님), 사사불공(事事佛供 ∙ 일마다 불공) 사상으로 나타납니다.

마음학교만이 가지고 있는 소태산의 소박한 마음공부를 통해 나와 너, 나와 풀 한 포기, 우주만유가 소중한 은(恩)의 관계임을 깨달아 마음의 힘과 지혜와 실천력을 기르는 방법을 체험하도록 도와 드리고자 합니다. 시작은 미미하지만 노력과 정성을 더해서 훌륭한 평생학습 시스템으로 가꿔나가고자 합니다.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출처:  소태산 마음학교 홈페이지 – 바로가기)

 

Won Symbol  CONTENTS  Thin Line

머리말

 

Ⅰ. 온 ・ 생 ・ 취  마음공부란

    예화로 공부하기

    이공부, 왜 해야 하냐?

    마음공부와 온 ・ 생 ・ 취

    이 공부, 어떻게 하나?

Ⅱ. 응용

    마음편지

    온 ・ 생 ・ 취와 응용

    응용과 경계

Ⅲ. 온전

    마음편지

    온전과 정신수양

    온전함을 기르는 방법

    소태산의 온전 쓰임새

Ⅳ. 생각

    마음편지

    생각과 사리연구

    생각의 힘을 기르는 방법

    소태산의 생각 쓰임새

Ⅴ. 취사

    마음편지

    취사와 작업취사

    취사의 힘을 기르는 방법

    소태산의 취사 쓰임새

Ⅵ. 주의

    마음편지

    온 ・ 생 ・ 취와 주의

    주의력을 기르는 방법

    소태산의 주의 쓰임새

Ⅶ. 온 ・ 생 ・ 취  자문자답

    온전 ・ 자문자답

    생각 ・ 자문자답

    취사 ・ 자문자답

    프로그램 감상담

 

Won Symb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