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개교 백년의 역사적 시점을 맞아 정전의 원문 이해와 그 실천 방향을 담은 책이 나왔다. 원불교대학원대학교 허광영 총장이 지은 〈개교백년의 정전공부〉는 정전공부, 일원상, 표어, 교리도, 제1 총서편, 제2 교의편, 제3 수행편 등 500여 쪽 분량으로 정전을 새롭게 되짚고, 의문점에 대해 풀이했다.
저자는 “이 책은 여러 의문 거리를 중심으로 정전 공부를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는 나름의 간절함으로 비롯했다“며 “교무 양성의 마지막 과정인 원불교대학원대학교에 부임해 ‘어떻게 하면 대종사의 참된 전법 사도를 양성할까‘ 하는 무거운 책임감 속에 지내다보니 정전공부에 대한 새로운 눈이 열리고 의문 거리가 생기면서 나름의 해석서가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절실해졌다. 집필하는 내내 이제야 대종사께 조금이라도 보은한다는 생각과 망설임이 교차했다“고 소회했다.
〈개교백년의 정전공부〉는 원불교 정전 해석서로써 정전 해석과 성찰, 실천방법을 제시한 뒤, ‘함께 생각하기‘를 통해 의문과 의견을 제시했다.
참회문(p.427)에서는 ‘…삼보(三寶)전에 죄과를…‘에서 삼보전을 원불교 용어로 바꾸자는 의견, ‘제불 조사‘의 표현을 ‘제불 제성‘으로 바꾸자는 의견, 교법의 총설 ‘모든 종교의 교지도 이를 통합 활용하여‘의 본의를 살리고 참회 생활의 다양한 실천을 위해 신앙을 통한 참회를 병행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부록에서는 본문 질의와 대안에서 밝힌 시안을 정전 원문과 비교해 정리하면서 제시된 시안들이 향후 교법의 시대적 적용에 활동되기를 기대했다.
저자는 “원불교 교법은 소태산 대종사의 대각에서 비롯해 수년간의 교법 제정을 위한 연마의 적공을 쌓고, 여러 번의 교법 체제 변경을 거쳐서 이뤄졌다. 시대의 변화에 맞춰 교법의 본의를 좀 더 잘 드러내고자 하는 시각을 가질 때 대종사의 일원대도는 끊임없이 왕성한 생명력을 유지하며 풍성해져 나갈 것이다“며 “이 책의 주된 관심사는 교법의 대체 속에서 계승·편입되고 새 길을 개척해 온 세부내용들을 이 시대의 관점에서 되짚어 연마하는 것이다. 대종사의 교법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된다면 더 없는 보람으로 생각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2/8/2018, 원불교신문 – [바로가기])
* 원불교에 대한 이해, 원불교 대사전에서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소태산 대종사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원불교 전서 내용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정전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ABOUT THE AUTHOR 
허광영 (법호: 명산, 본명: 종규)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를 졸업한 원불교 성직자로 1970년 원불교에 출가해 원불교 교정원 총무부 및 교육부 교무, 수위단회 사무처장, 법무실장, 금암교당 교무, 잠실교당 교감교무, 전북교구장, 복지법인 한울안 이사장, 원불교대학원대학교 총장, 원불교 최고결의기관인 수위단회에서 정수위단원을 역임했다. 2019년 현재 학교법인 원광학원 이사장에 재직 중이다.
CONTENTS 
○ 정전공부
○ 일원상
○ 표어
○ 교리도
제1 총서편
제1장 개교의 동기
제2장 교법의 총설
제2 교의편
제1장 일원상
제1절 일원상의 진리
제2절 일원상의 신앙
제3절 일원상의 수행
제4절 일원상 서원문
제5절 일원상 법어
제6절 게 송
제2장 사은
제1절 천지은
제2절 부모은
제3절 동포은
제4절 법률은
제3장 사요
제1절 자력양성
제2절 지자 본위
제3절 타자녀 교육
제4절 공도자 숭배
제4장 삼학
제1절 정신수양
제2절 사리연구
제3절 작업취사
제5장 팔조
제1절 진행 사조
제2절 사연 사조
제6장 인생의 요도와 공부의 요도
제7장 사대강령
제3 수행편
제1장 일상수행의 요법
제2장 정기훈련과 상시훈련
제1절 정기훈련법
제2절 상시훈련법
제3절 정기훈련법과 상시훈련법의 관계
제3장 염불법
제4장 좌선법
제5장 의두요목
제5장 일기법
제7장 무시선법
제8장 참회문
제9장 심고와 기도
제10장 불공하는 법
제11장 계 문
제12장 솔성요론
제13장 최초법어
제14장 고락에 대한 법문
제15장 병든 사회와 그 치료법
제16장 영육 쌍전 법
제17장 법위등급
○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