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소태산 마음학교에 공감한 17인이 정산종사 <세전>에 다뤄진 주제에 기초해 우리의 삶과 사회의 현안들을 다뤘다. <소태산에게 길을 묻다>는 17인이 ‘소태산‘ 스승에게 묻고 답하며 배움과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담은 책이다.
거대한 욕망, 편협한 이념과 그릇된 권위, 고정관념에게 물을 수도 있는 ‘길‘의 해답을 이 책의 저자들은 소태산 대종사에게 물었다. 길의 목적지는 ‘마음‘이며 앞으로도 묻고 답하는 배움과 깨달음의 과정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한다.
<소태산에게 길을 묻다>는 총 500여 쪽 분량으로 교육, 가정, 신앙, 사회, 국가, 세계, 휴양, 열반의 소주제로 나뉜다. ‘교육‘은 조성주 상담교사가 맡았다. 조 교사는 ‘나의 묘비명엔‘, ‘아이들은 어른의 거울‘, ‘아이는 무엇으로 크는가‘ 등 실제 현장에서 아이들과 상담하며 느낀 내용을 풀어내며 “아이들의 버팀목이 되고 낯선 길의 동행자가 되고, 시원한 그늘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가정‘에 대한 내용은 논산교당 고세천 교무, 세종시조치원청소년수련관 박세훈 교무, 원광학원 박종락 교무, 나주교당 방길튼 교무, ‘신앙‘은 원광디지털대학교 김준안 교무, 원학습코칭 수석연구원 송희원 교도, 전주한방병원교당 문향허 교무가 풀어냈다. ‘사회‘는 이환욱 사회학 박사, 김혜월 종교학 박사, ‘국가‘는 원불교환경연대 이태은 교도, 김기남 국제변호사, ‘세계‘는 소태산마음학교 양영인 교무, 조성호 인권변호사, 한울안신문 박대성 교무, ‘열반‘은 청소년국 최규선 교무, 최도운 교무가 써냈다.
(신문 기사 – [바로가기] 이 한권의 책/ 소태산에게 길을 문다, 12/01/2017, 원불교신문)
* 마음공부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원불교에 대한 이해, 원불교 대사전에서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소태산 대종사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원불교 전서 내용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원불교 경전법문집 – [바로가기]
ABOUT THE AUTHOR 
* 소태산 마음학교 소개
소태산 대종사는 현대 문명의 눈부신 발달로 우리 인류가 편리함과 혜택을 누리는 동시에 엄청난 위기를 가져 왔다고 진단하였습니다. 또한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의 조화가 우리가 이뤄가야 할 ‘참 문명 세상’의 전제라는 것은 한 종교인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적확한 예견입니다.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그의 선언은 새로운 정신문명을 촉구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에 소태산 마음학교에서는 소태산 박중빈(서기1891-1943) 대종사의 가르침을 배우고 체험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그가 제시한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염원한 정신개벽은 쉽게 말하면 마음공부이며, 구체적인 훈련 프로그램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우주만유가 ‘서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인연 관계로 맺어져 있다는 ‘은’(恩)의 세계관‘은 우주만물을 모두 존귀한 부처님으로 대하는 처처불상(處處佛像 ∙ 곳곳이 부처님), 사사불공(事事佛供 ∙ 일마다 불공) 사상으로 나타납니다.
마음학교만이 가지고 있는 소태산의 소박한 마음공부를 통해 나와 너, 나와 풀 한 포기, 우주만유가 소중한 은(恩)의 관계임을 깨달아 마음의 힘과 지혜와 실천력을 기르는 방법을 체험하도록 도와 드리고자 합니다. 시작은 미미하지만 노력과 정성을 더해서 훌륭한 평생학습 시스템으로 가꿔나가고자 합니다.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출처: 소태산 마음학교 홈페이지 – 바로가기)
CONTENTS 
교육
조성주
나의 묘비명엔 / 관심, 그 어려운 말을 가슴에 새기며 / 달라던 간식은 안 먹고 / 몸살 그리고 참회 / 집착으로 구하면 멀어지고 ·····
가정
조세천
하늘님과 땅님의 지극한 은혜 / 아빠는 그 생각을 못해요 / 자녀에게 부모로, 부모에서 자녀로 ·····
박세훈
진짜 가족이란,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 혈연+법연=최고의 인연 /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중독인가? 새로운 문화인가? ·····
박종락
모든 일에서 계기를 삼자 / 밥상머리 교육 / 물질개벽과 행복 지수 / 사주팔자를 고치는 힘? / 위로와 격려 ·····
방길튼
가족의 계보학 / 소태산 대종사의 가계도 / 소태산 대종사, 탄생가 부엌과 구호동 집터 / 가족은 악의 온상인가? 선의 못자리판인가? ·····
신앙
김준안
연재를 시작하며 / 자력을 기르자 / 좋은 인연을 많이 맺자 / 10분의 6만 뜻에 맞으면 만족하라 / 감사하며 살자 ·····
송희원
내가 지금 보는 것은 사실로 믿을 수 있을까요? / 회복탄력성과 믿음 / 사실적 종교의 신앙의 필요성 ·····
문향허
신앙은 믿음이라는 생각과 우러름이라는 감정이다 / 감사는 뭉클한 감정을 말로 쏘는 것이다 / 모두 다 꽃이야 ·····
사회
이환욱
정화의 꿈은 왜 망상이 되었나 / 갑으로 살고 계십니까 / 과연 모두가 은혜입니까 / 일베와 표현의 자유 / 구만리 하늘을 나는 봉황 ·····
김혜월
불안한 세상, 편안한 마음 / 바보처럼, 성자처럼 / 지축이 흔들릴 때 / 퀴어퍼레이드를 바라보며 ·····
국가
이태은
빗물, 옥상교화를 상상하다 / 작지만, 아름다운 나라 / 몬산토가 지배하는 밥상 / 마을에너지 낙원 세상 ·····
김기남
인권의 개념 / 인권 개념의 특징으로서 보편성 / 인권의 구체적 내용 / 현대 인권의 특징 / 세월호 참사와 인권 ·····
세계
양영인
자본의 세계화에서 은혜의 세계화로 / 피지도 못하고 지는 꽃 / 평화를 원한다면 평화를 준비하라 / 목표와 수단의 올바름 ·····
조성호
그녀의 한걸음 / 생명은 모두 귀한 것입니다 / 도깨비와 인어 / 로봇의 권리 / 한 마음이 선할 때
휴양
박대성
원불교, 힐링을 말하다 / 처음 시작하는 이를 위한 원불교 선수행 / 좌선 공부를 위한 당부 / 명상의 STAR 공식 / 원불교 수행의 측면에서 본 마음챙김(Mindfulness) ·····
열반
최규선
생과 사를 준비하자 / 당신은 왜 벚꽃을 좋아하시나요? / 죽음 준비와 태어남의 준비 죽음의 신을 만난 나찌게따 / 잘 태어나고, 잘 살고, 잘 죽 는 세간의 큰 일 ·····
최도운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 도교의 생사관과 장례 / 불교의 생사관과 장례 / 원불교의 생사관과 장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