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Page

PRODUCT CATEGORIES

소태산 대종사의 생애 60가지 이야기

$27.00

Author: 서문 성 / Korean Edition / Pages: 342 / Paperback

SKU: WKB-097 Categories: ,
Won Symbol

OVERVIEW

Won Symbol  DETAILS  Thin Line

AUTHOR

서문 성
PAGES

342 pages

PUBLISHER

송대

ISBN-10

8996671121

LANGUAGE

Korean

PUBLICATION DATE

August 30, 2012

PRODUCT DIMENSIONS

5.9 (W) * 8.7 (H) * 0.8 (D), inches

Won Symbol  DESCRIPTION  Thin Line

소태산 대종사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책을 내면서…

이 책은 《원불교신문》에 원기 96년 초부터 올해 6월까지 「소태산 대종사의 생애 60가지 이야기」라는 주제로 연재한 내용입니다.

신문연재를 마무리하면서 연재한 내용의 글을 편집하며 소태산 대종사님의 생애를 60가지로 나누어 요약 정리된 내용과 관련사진을 추가하여 은으로 인사하게 되었습니다.

60가지 이야기로 나누어 연재한 것은 소태산대종사의 생애와 사상을 쉽고 재미있게 많은 사람들이 접할 수 있도록 하고자하는 생각이었습니다. 그리하여 지역 · 법문 · 시대상황 등 다양한 면을 고려하여 시대 순으로 연재했습니다. 아쉽고 부족한 점은 앞으로 채워 나가도록하겠습니다.

연재를 하면서 마음에 항상 걸리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일원상 법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태산대종사님의 법문 중 ‘일원상 법어’는 소태산 대종사께서 깨달음大覺을 얻은 경지를 밝히고, 그 진리를 육근六根으로 활용하는 것을 강조한 법문으로 원기 28년 발행한 《불교정전》과《근행법》에 소개되었습니다.

어느 법문보다 중요한 법문임을 잘 알면서도 소태산대종사님의 생애를 60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하는 데에 있어서 함께하지 못했다. 이는 아직 공부가 깊지 못한 필자의 탓으로 법문의 상황을 몰라 어느 법문 보다 중요함을 알면서도 연재에 넣지 못했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을지라도 이번 책이 소태산대종사님과 관련된 다양한 보은행을 하는데 조금이나마 밑거름이 되었으면 합니다. 앞으로 보은행을 하는데 필자가 작은 도움이라도 될 수 있다면 힘을 합하겠습니다.

신문에 연재를 하면서 선진연구자들의 은덕으로 소태산대종사님의 생애를 다시 한 번 모시고 공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책으로 나오기까지는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지면으로 나마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원기 97년 법인의 달에 서문 성 합장)

 

About the Author :   륜산 서문 성 교무

전북 장수 출생으로

1987년에 원불교에 출가하여 영산선원을 졸업했다.

원불교 동안양교당 부교무와

변산성지에 있는 원광선원 교무, 성주성지 초전개척지 교무, 중앙총부 교화훈련부 순교무를 거쳐,

현재 산수교당 주임교무로 있다.

저서로는

「대종사님 찾아 떠나는 성지여행」과

「전문박물관 둘러보기」가 있으며

「마음을 보는 지혜」1, 2

「대종사님 그때 그말씀」

「전통사찰의 창건 설화」등 다수를 엮었다.

Won Symbol  CONTENTS  Thin Line

책을 내면서

01. 종사성원족 소태산대종사는 원만구족을 이루셨다

02. 신묘탄영광 신묘년에 영광에서 태어나다

03. 관천생의문 하늘을 보고 의문을 내다

04. 삼령헌기원 삼밭재에서 기원을 드리다

05. 문고설구사 고대소설 읽는 소리를 듣고 스승을 찾다

06. 서부불휴진 부친의 열반으로 구도와 치산에 고통이 심하다

07. 정진동연화 연화봉에서 삼동에 정진하다

08. 피골접입정 피골이 상접한 가운데 정에 들다

09. 병진성대각 병진년에 큰 깨달음을 이루다

10. 연원정불타 부처님에게 연원을 정하다

11. 설최초법어 최초법어를 설하다

12. 정표준제자 표준제지를 내정하다

13. 저법의대전 《법의대전》을 저술하고 소화하다

14. 설저축조합 저축조합을 설립하다

15. 방언진공로 간석지 막아 공익의 길로 나아가다

16. 해방언분쟁 방언공사의 분쟁이 해결되다

17. 우신회법모 새 회상의 법모를 만나다

18. 도실건봉하 옥녀봉 아래에 도실을 세우다

19. 임창생제도 스스로 창생 제도를 맡다

20. 회원상송대 송대에 일원상을 그리다

21. 발교강변산 변산에서 교리의 강령을 발표하다

22. 현불공권능 실지불공의 권능이 나타나다

23. 청산곡수성 변산구곡의 물소리를 듣다

24. 우인면만덕 만덕산에서 인연을 만나다

25. 비정식회상 정식으로 회상을 열 준비를 하다

26 ..신축영산원 영산원을 신축하다

27. 득제자경성 서울에 가서 제자를 얻다

28. 귀야소장노 예수교 장로가 귀의하다

29. 개회상창립 회상의 창립총회를 열다

30. 초산개만덕 만덕산에서 처음으로 선회를 열다

31. 총부건익산 익산에 총부를 건설하다

32. 시정기훈련 정기훈련을 시작하다

33. 행신정의례 새로 정한 의례를 시행하다

34. 교당건경성 서울에 교당을 세우다

35. 개일기념회 제1회 기념총회를 하다

36. 간교단관보 교단 기관지를 간행하다

37. 원상외송하 소나무 아래에 일원상을 그리다

38. 감상득박람 박람회에서 감상을 얻다

39. 행관금강산 금강산을 여행하다

40. 엄질책절지 손가락 끊음을 엄중하게 질책하다

41. 교당건부산 부산에 교당을 세우다

42. 간초기교서 초기 교서를 간행하다

43. 학원립영산 영산에 학원을 세우다

44. 원상봉각전 대각전에 일원상을 봉안하다

45. 도산방총부 도산 안창호가 총부를 방문하다

46. 일정심탄압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다

47. 원시아가불 산업부원이 우리집의 부처라 이르다

48. 사제락법흥 스승과 제자가 법흥을 즐기다

49. 순사귀감복 순사가 감복하여 귀의하다

50. 발표서원문 일원상서원문을 발표하다

51. 방일지안질 눈병으로 일본 방문을 늦추다

52. 공설전법게 공개적으로 전법게송을 설하다

53. 계전수학원 전수학원을 세우고자 하다

54. 발구형교도 거북이형상 닮은 교리도를 발표하다

55. 간불교정전 《불교정전〉을 간행하다

56. 예시입열반 열반에 들 것을 예시하다

57. 설최우법문 최후의 법문을 설하다

58. 입팔년열반 원기 28년에 열반을 나투다

59. 정산승법통 정산 송규가 법통을 계승하다

60. 탑비입성업 성업봉찬으로 성탑과 성비를 세우다

Won Symb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