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소태산 마음편지>는 매일 아침8시30분 소태산마음학교 앱을 통해 전송된 마음편지를 한권의 책으로 엮었다. 대종사의 수행법 중 일기법의 감각감상, 심신작용 처리건에 맥을 댄 글이라고 할 수 있다. 본지 〈원불교신문〉 안세명 교무, 월간<원광> 노태형 교무, 정도상 작가 등 11명의 저자는 무심히 흘려보낼 수 있는 일상 속에서 빛나는 보석 같은 깨달음을 전해주고 있다.
소태산 마음학교 최정풍 교장은 “대중들과 공유하는 시간이 정해진 글을 쓰느라 수고가 여간 많지 않았을 것 같다”며 “각자의 일터에서 책임을 다하는 가운데 소중한 글을 써주신 저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전한다”고 밝혔다.
(신문 기사 – [바로가기] 이 한권의 책/ 소태산 마음편지, 12/1/2017, 원불교신문)
* 마음공부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원불교에 대한 이해, 원불교 대사전에서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소태산 대종사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원불교 전서 내용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원불교 경전법문집 – [바로가기]
ABOUT THE AUTHOR 
소태산 마음학교 (엮음)
* 소태산 마음학교 소개
소태산 대종사는 현대 문명의 눈부신 발달로 우리 인류가 편리함과 혜택을 누리는 동시에 엄청난 위기를 가져 왔다고 진단하였습니다. 또한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의 조화가 우리가 이뤄가야 할 ‘참 문명 세상’의 전제라는 것은 한 종교인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적확한 예견입니다.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그의 선언은 새로운 정신문명을 촉구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에 소태산 마음학교에서는 소태산 박중빈(서기1891-1943) 대종사의 가르침을 배우고 체험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그가 제시한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소태산 대종사가 염원한 정신개벽은 쉽게 말하면 마음공부이며, 구체적인 훈련 프로그램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우주만유가 ‘서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인연 관계로 맺어져 있다는 ‘은’(恩)의 세계관‘은 우주만물을 모두 존귀한 부처님으로 대하는 처처불상(處處佛像 ∙ 곳곳이 부처님), 사사불공(事事佛供 ∙ 일마다 불공) 사상으로 나타납니다.
마음학교만이 가지고 있는 소태산의 소박한 마음공부를 통해 나와 너, 나와 풀 한 포기, 우주만유가 소중한 은(恩)의 관계임을 깨달아 마음의 힘과 지혜와 실천력을 기르는 방법을 체험하도록 도와 드리고자 합니다. 시작은 미미하지만 노력과 정성을 더해서 훌륭한 평생학습 시스템으로 가꿔나가고자 합니다.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출처: 소태산 마음학교 홈페이지 – 바로가기)
CONTENTS 
강숙원
소태산의 꿈 / 가장 먼 거리 / 풀꽃 / 인연 / 바라는 만큼 괴롭지요 / 파도타기 / 함께 걸어 보세요 ·····
김준안
‘예’의 힘을 빌려 보세요 / 인연을 대하는 자세 / 귀한 열매 / 귀 좀 기울여 주세요 / 추측하지 말고 질문하세요 ·····
노태형
세상에서 제일 예쁜 여인 / 어머니 덕에 / 선물 거래 / 엄마의 말바꾸기 / 아버지의 승리 / 돌담쌓기 ·····
박혜훈
새해 소망 / 때로는 천천히, 주위를 둘러 보세요 / 착하게 살아보시게요, 뭐! / 열쇠는 내가 쥐고 있어요 ·····
신충선
천지가 하는 일 간섭하지 말아라 / 개가 짖어요 / 더 잘해주고 싶은 마음이 나오네 / 너의 답도 맞단다 ·····
안세명
풀잎이슬 / 대물림 일심공부 / 보기 좋은 납도끼 / 만법귀일 / 기다림의 지혜 / 여일 / 생수 서원 / 거울 단상 ·····
이경식
은혜의 인드라망 / 마음을 움직이는 이치 / 노예 생활 / 길은 달라도 / 주기 전에 빼앗는다 / 희사 / 무상보시 ·····
정도상
마음은 몸의 길이고, 몸은 마음의 집이다 / 아픔을 애기할 때는 작게 / 수선화를 바라보다 / 다른 사람의 슬픔에 오체투지 하는 것 ·····
조명규
하늘 마음 / 그거 참! 감사한 일이네 / 세상에서 제일 착한 사람들 / 끼리끼리 법칙 / 하루에 감사 100건 ·····
조성연
그늘 깊은 여울 / 맨발을 위하여 / 흐르는 꿈 / 해찰박물관 / 그늘에 대하여 / 시골버스 정류장에서 / 스키드마크 앞에서 ·····
최정풍
소태산 / 행복주문, 반 · 감 · 미 · 사 / 행복공부 / 딱 한 마디 / 지금 여기서 / 은혜 속으로 / 무엇을 잡을 것인가 / 마음과 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