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젊은 종교 원불교, 시대와 소통하다.
본 동영상 DVD는 2008년 봄부터 2010년 여름까지 총 다섯 차례에 걸쳐 진행된 <소태산 아카데미>의 강의 일부를 엮은 것입니다. ‘우리 시대의 코드를 읽자’라는 주제로 시작된 <소태산 아카데미>는 원불교 교리와 한국 전통사상을 사유의 바탕에 두고 우리 시대의 전반적인 문제를 진다나고자 노력했습니다. 종교 교리와 일반 사상담론이 소통할 수 있었던 것은 젊은 종교, 원불교의 힘이 아닐까 합니다.
원불교는 이제 1백 년의 결실을 거두고 1천 년의 새로운 결복기를 준비해야하는 제2세기의 반열에 올라 있습니다. 자정 능력을 살려서 고통 받는 우리 시대와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종교로 나아갈 때 비로소 소태산 대종사가 꿈꾼 낙원세상의 생명력이 우리들에 의해 현실이 될 수 있습니다. (소태산 아카데미)
소태산 아카데미는 원불교 교법을 사회화하여 가정 · 사회 · 국가 · 세계의 현안들에 대한 창조적 해법 원리와 혁신 이념을 창출하고 이를 교육 · 확산함으로써 인류의 정신을 개벽하고 낙원 세계 건설을 선도하는 정신문화운동을 전개하고자 합니다. (소태산少太山은 원불교의 교조인 박중빈 대종사의 법호를 의미합니다.)
은덕문화원
세계문화유산의 하나인 창덕궁과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원불교 은덕문화원은 <소태산 아카데미>를 통해 소태산 일원주의 사상과 현대 사회의 지성 담론을 바탕으로 시대문제를 바르게 조명하고 연구하는 정신문화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전통문화유산을 바르게 이해하고 계승 · 발전시키는 공연 · 음악회 · 전시 · 회의 등을 열어 아름다운 문화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얼과 정과 흥, 멋과 맛이 가득한 문화콘텐츠를 조성하고 노력하고 있다.
* 소태산 아카데미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소태산 아카데미 동영상 강의 보기 – [바로가기]
HOMEPAGE TO THE SCRIPTURES OF WON BUDDHISM 
강의 DVD 1 – 1기 (상)
만생령 부활의 원리요, 대도인 삼학 (김주원)
소태산 대종사는 어떤 분인가 (박윤철)
불교의 삼성론과 원불교 (소광섭)
신민족종교가 한국 종교사에서 차지하는 비중 (최준식)
강의 DVD 2 – 1기 (하)
다시 마을을 만들자 (조한혜정)
통섭문화와 소통의 사회 (최재천)
일원상과 한의학 64쾌 원형상 (최원철)
시국토론: 촛불 집회
김지하, 김정탁, 정현인, 홍성태, 정원규, 정상덕, 진민자
강의 DVD 3 – 2기 (상)
일원상 진리의 교상판석적 이해와 신앙적 의미 (노대훈)
인류 보편종교와 정산의 삼동윤리 (이성전)
변혁적 중도주의와 소태산의 개벽사상 (백낙청)
학문의 이종교배 (이민용)
강의 DVD 4 – 2기 (하)
우리 역사 바로 알기 (김홍신)
기후 변화와 대처 방안 (황진택)
칼 폴라니, 호혜와 교환 (송호근)
북핵 문제와 남북 관계 (정세현)
강의 DVD 5 – 3기 (상)
일원상 서원문 (한정석)
사회적 기업의 미래 (박원순)
촛불, 차이와 공공성의 새로운 공간 (양현아)
매스미디어의 빛과 그림자 (송해룡)
강의 DVD 6 – 3기 (하)
한글, 어울림. 멋짓 (안상수)
사이코패스와 사회 환경 (이수정)
아시아 공동체 실현과 비전 (조희연)
호모루덴스, 예술이 삶의 본질이다 (유지나)
강의 DVD 7 – 4기 (상)
기철학적 입장에서 본 정산의 영기질론 (김기원)
인과의 원리에 접근하는 두가지 태도
현세와 내세에 이르는 한국 불교의 여정 (로버트 버스웰)
옹기의 원류로 보는 미래 네트워크 (나선화)
강의 DVD 8 – 4기 (하)
21세기 자본주의 윤리 (김호기)
민주주의의 새로운 과제 (조국)
한국 음식에 숨겨진 우리의 미래 (조태권)
기후 변화와 저탄소 녹색 성장 (정래권)
강의 DVD 9 – 5기 (상)
원불교 진리인식 구조로서의 대소유무 (김도공)
원불교 훈련법의 특징 (이성택)
소태산 대종사 성비명 세계 (양현수)
원불교 제2세기의 비전 (김용옥)
강의 DVD 10 – 5기 (하)
경술국치 100년과 원불교 100년의 민족사적 과제 (한홍구)
정신 개벽 시대에 새로이 강조되는 일상수행의 요법에 대한 재해석 (이면우)
한국형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재발견 (조용헌)
21세기를 위한 경영학 (조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