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원불교 ‘정전’에 수록된 좌선법으로 원불교 교조 소태산의 깨달음 이후에 그동안의 수행과정을 되짚고 다듬어서 정돈한 간결한 선법인 ‘단전주선’을 정리한 책이다. 총론 차원에서 드러낸 원불교 좌선법을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프로그램화하여 소개한다. 초심자의 심경에 따른 선에 대한 감각을 잃지 않기 위해 25년 전부터 초심자의 자세로 하나하나 해가며 단계를 짓고 정리하였다. 궁극적인 목적에 따른 단계별 목표로 나누어 정리해 방법을 위한 방법으로 헤매는 일이 없이 선의 과정을 밟아 가도록 이끌어준다.
* 인터뷰 – [바로가기] (좌선은 깊이를 다져주고 무시선은 폭을 넓혀 준다, 2017년 12월호, 월간 원광)
* 책 안내 – [바로가기] (<단전주선>, 4/25/2014, 원불교신문)
ABOUT THE AUTHOR 
훈산 길도훈(吉道薰) 교무
강원도 화천에서 산을 벗 삼아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의 대부분을 지내고 삶의 본질을 알기 위해서 원불교에 출가하여 교무로서 수행자의 생활을 하고 있다.
여러 교당(인천, 철원, 순천, 안암, 화정, 압구정)과 경북 성주의 원불교 삼동연수원 원장으로 재직하며 수행과 가르침에 임하였다.
원불교대학원대학교와 원광대학 원불교학과 학생들에게 각각 ‘선과 성리’와 ‘정전 학습’을 다년간 지도했고 전무출신(원불교 성직자) 훈련에서 2년간 선 강의를 하였다. 월간 <원광>에 좌선법을 3년간, 월간<교화>에 무시선법을 1년간 연재했다. 선과 선심의 내용으로 서울 원음방송국에서 10년간, KBS에서 일주일간 라디오 방송을 했다. <원불교 신문>에 ‘정전 강의’를 연재하였으며, 선방 ‘동선·하선’과 ‘선과 성리’ 공부 모임들과 ‘Young Spirit Society(젊은 사람들이 영적 수행을 하는 모임)’을 지도했다.
저서로는 『무시선』이 있다.
CONTENTS 
여는 글
【입문】 처음에 들어서며
수행의 이유
좌선의 목적
좌선의 유래
좌선을 어떻게 할 것인가
단전주호흡법
초심자의 선
좌선의 단계적 방법
집심선법執心禪法
집심 1 | 누워서 단전 만들기
집심 2 | 자기호흡 찾기
집심 3 | 유무념有無念 수식호흡법
효율적인 선 시간 운영 방법
염불법
선하는 사람이 알아야 할 것
선 수행의 초기 현상
좌선 전에 주의해야 할 일
좌선을 하기에 알맞은 곳
【심화】 깊이를 더해 가며
망념의 정보와 의식의 깊이
관심선법觀心禪法
성리연마性理硏磨
관심 1 | 미세호흡법微細呼吸法
관심 2 | 독야청정獨也淸靜
관심 3 | 선정삼매禪定三昧
관심 4 | 자성관조自性觀照
무심선법無心禪法
성리대전性理大全
무심 1 | 자연호흡법自然呼吸法
무심 2 | 천지합일天地合一
무심 3 | 만행萬行
무심 4 | 보림함축保任含蓄
능심선법能心禪法
능심 1 | 도광산채韜光?’彩
능심 2 | 대기대용大機大用
능심 3 | 동정일여動靜一如
능심 4 | 대자대비大慈大悲
능심 5 | 자유자재自由自在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