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우리 인생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누가 이 광대하고 신비한 우주를 창조 발전시키고 있는가, 세상에서 일어나는 잡다한 현실문제로부터 인생, 영생의 문제를 해설한 책. 업, 삼세인연과, 우주와 자아 등을 설명했다.
– 머리말 –
많은 사람들이 선(善)이 좋은 줄은 알면서도 실천하지 아니하고 악(惡) 이 그른 줄은 알면서도 끊고 제거하지 못하며, 즐거운 낙(樂)은 좋은 줄 알면서도 낙 받을 일은 아니 하고, 괴로운 고(苦)는 싫어하면서도 고 받을 일은 스스로 장만한다. 또한 우연히 돌아오는 복락(福樂)은 그저 응당 받아들이는 것으로 알면서도 우연히 돌아오는 죄고(罪苦)에 대해서는 하늘
을 원망하며 사람을 원망한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적은 적공을 들이고 큰 공을 이루려 하고 허망하고 요행한데 끌려가기가 쉬우며 편협하고 단촉하여 일생사(一生事)를 보지 못한다.
그래서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악이 제거되지 아니하고 원망생활이 끊 이지 않으며 참다운 진실과 신앙에 뿌리를 내리고 영생사를 개척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우리 인생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왜 늙고 병들고 죽어가는가. 누가 들어 광대하고 신비한 우주를 창조 발전시키고 있으며 그 가운데 나의 존재는 무엇인가. 어떤 사람은 잘 살고 어떤 사람은 가난하게 살며 누구는 하는 일마다 잘 되고 누구는 실패를 거듭해야만 되는가. 또 어떤 사람은 나면서부터 선하며 어떤 사람은 천성적으로 악한 성질을 타고 나는가. 또 어떤 사람은 왜 일생동안을 병과 싸우며 살아야 하는가. 이와 같은 일들이 그저 우연히 일어나는 것일까. 아니면 보이지 않는 현실세계의 이 면에서 이런 것들을 지배하는 어떤 것이 있는 것인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답을 나 스스로 얻지 못한다면 우리는 죄고에서 벗어날 수가 없을 것이요 최령(最靈)한 인간의 가치를 상실하고 말게 될 것이다.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잡다한 현실 문제로부터 인생의 문제, 영생의 문제에 대해서 나는 일찍부터 의문을 갖고 살아왔다. 그래서 이 의문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승님들에게 묻고 배우며 애타게 생각하기를 거듭하던 중 나 나름대로의 답을 얻어 이 글을 쓰게 되었다.
비록 미거한 듯 하지만 천리길을 향한 한 발자욱의 시작이요, 고산심곡(高山深谷)에 일단을 올랐으니 영생을 거래(去來)하면서 완성을 향한 노력을 쉬지 않을 것을 결심하며 강호제현들의 아낌없는 지도와 편달을 바라마지 않는 바이다.
본서를 간행함에 있어 물심양면으로 협조해 주신 여러분과 원고정리를 해준 후진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특히 재정적으로 후원을 해 준 수원교당의 박화선(朴和善)주무님과 김도광(金道光)선생, 책을 만들어 보급해 준 원광사(圓光社)사장에게도 사의를 표한다.
(김중묵 합장)
ABOUT THE AUTHOR 
양산 김중묵 종사 (1920 ~ 1998)
저자는 1920년 전북 김제에서 출생,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를 졸업했다. 그 뒤 원불교 화해교당 교무를 거쳐 원불교 교정원 교무부장, 원불교 교정원 총무부장, 원불교 교화부 순교감을 두루 역임하셨으며, 1985년 정년 퇴임 후 1991년 종사장 법훈을 서훈했다.
* 저자에 대한 자세한 소개 – [바로 가기]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무심도인 무애도인, 8/17/2007, 원불교신문)
* 신문 기사 – [바로가기] (이도전 교무가 쓰는 선진읽기 1. 양산 김중묵 종사, 2/8/2013, 원불교신문)
* 오디오 설교 듣기 – [바로가기] (양산 김중묵 법사님의 인과 법문 1, 팟캐스트 파수공행)
* 오디오 설교 듣기 – [바로가기] (양산 김중묵 법사님의 인과 법문 2, 팟캐스트 파수공행)
CONTENTS 
■ 머리말
■ 수정 증보판을 내며
1. 업(業)
1 업(業)/
2 천업과 정업/
천업/ 정업/
3 정업에 대하여/
성업/ 작업/ 업의 성질/ 업의 수확/
업의 종류/ 업식과 업적의 관계/ 업력과 업보
2 삼세인연과(三世因緣果)
1 삼세(三世)/
2 인연과(因緣果)/
인(因)/ 연(緣)/ 과(果)/ 운명의 유래/
3 인연과의 법칙/
순환하는 인연과/ 변화되어져 가는 인연과/
순환하는 인연과와 변화 되어져가는 인연과/
4 우주의 주인공/
생명과 의식/ 우주의 주인공으로서의 인격의 문제/
5 생사관(生死觀)
양세계와 음세계/ 음양세게가 이루어지는 법칙/
불이법/ 생사관/
3 우주(宇宙)와 자아(自我)
1 우주론/
우주의 한계/ 우주의 존재/ 불교의 우주관
원불교의 우주관/ 우주의 식(識)/
2 자아관(自我觀)
자아의 성립/ 자아의 추구/ 영혼의 존재/
자아의 소중성/
예화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