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Page

PRODUCT CATEGORIES

정산종사 법문 예화

$13.50

Author: 서문 성 엮음 / Korean Edition / Pages: 232 / Paperback

Won Symbol

OVERVIEW

Won Symbol  DETAILS  Thin Line

AUTHOR

서문 성 엮음

BINDING

Paperback Binding, 232 Pages

PUBLISHER

원불교출판사

ISBN-10

8980761227

ISBN-13

978-8980761227

LANGUAGE

Korean

PUBLICATION DATE

May 19, 2008

PRODUCT DIMENSIONS

5.9 (W) * 8.9 (H) * 0.5 (D), inches

Won Symbol  DESCRIPTION  Thin Line

정산 종사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글머리…

금은보화로도 살수 없는 말씀

대종사님과 정산종사님께서는 일생동안 많은 법문을 설하셨습니다. 법문을 설하실 때 예화 또한 많이 인용하셨다는 것을 각종 법문과 당대 선진님들의 말씀을 통하여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문헌의 기록이나 구전으로 전하여지고 있는 예화들이 많지 않다는 점입니다. 특히 대종사님께서 사용하셨던 예화들은 대종사님 당대의 제자들께서도 그리 많이 기억하고 있지 않음을 볼 때 아쉽지만 지금이라도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임에는 분명합니다.

대종사님께서 말씀하신 예화들은 각종 자료와 대종사님을 모시고 구전심수하셨던 선진님들께 법문을 받들 면서 대종사님께서 말씀하셨다고 하는 예화들을 틈틈이 모아 원기89년에 ⟪원불교 초기교단 예화모임⟫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출판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 정산종사님께서 제자들에게 법문하시며 말씀해주신 예화들을 한자리에 모아 다시금 ⟪정산종사 법문예화⟫로 엮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책의 예화는 정산종사님께서 말씀하신 예화의 일부분이라는 것입니다. 앞으로 제2, 제3의 예화집이 나올 수 있도록 공부하고 노력하겠습니다.

예화란 특성상 같은 내용일지라도 때와 장소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전해지고 또 구전으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내용은 대동소이할 수밖에 없습니다. 문헌에도 기록하는 사람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정산종사 법문예화⟫는 ⟪정산종사 법어⟫,⟪한 울안 한 이치에⟫, ⟪정산종사 법설⟫,⟪정산종사 그때 그 말씀⟫, 좌산상사님의 정산종사 수필법문, 곤타원 박제권 종사님의 정산종사 수필법문, 그리고 선진님들의 각종 자료에서 발취하고 참조했습니다. 예화를 정리하다

보면 대종사님께서 말씀하셨던 예화를 정산종사님께서도 인용하신 예화가 있어 대종사님 예화와 중복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책으로 엮고 보니 정산종사님께 누가 되지 않을지, 가장 큰 우려가 되기도 합니다. 책의 내용 중에 잘못된 점이 있으면 지적해주시고, 보충해주시고, 지도해주시면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성자들의 한 말씀 한 말씀은 어떤 금은보화로도 살 수 없는 것임을 새 삼 느끼면서 글머리에 대신합니다. (샘골 골방에서 서문 성)

Won Symbol  ABOUT THE AUTHOR  Thin Line

륜산 서문 성 교무

전북 장수 출생으로

1987년에 원불교에 출가하여 영산선원을 졸업했다.

원불교 동안양교당 부교무와

변산성지에 있는 원광선원 교무, 성주성지 초전개척지 교무, 중앙총부 교화훈련부 순교무을 거쳐,

현재 산수교당 주임교무로 있다.

저서로는

「대종사님 찾아 떠나는 성지여행」과

「전문박물관 둘러보기」가 있으며

「마음을 보는 지혜」1, 2

「대종사님 그때 그말씀」

「전통사찰의 창건 설화」등 다수를 엮었다.

Won Symbol  CONTENTS  Thin Line

제 1부 스님 지금 무엇을

• 스님과 메밀묵 • 무엇을 가르치십니까

• 불심이 독실한 태온공 • 선승의 최후일념

• 스님의 아버지 제삿날 • 영원조사의 스승제도

• 한 승려의 꿈 • 불무령, 불유령 • 기다리다 패가망신

• 김동거사와 여동빈 • 바쁘다 스님

• 유마거사와 사리불 I • 약산선사의 무언설

• 과거심도 불가득 • 허망하고 싱거운 법문

• 세존과 농부 • 언덕 있게 하라 • 아난존자의 견성

• 아난존자 법문 들을 땐 • 송광사 공양주

• 내소사 공양주 • 내소사 스님의 종기

제 2부 오백생 여우보

• 진묵대사의 공양 • 삼백년 빈천 보

• 황금과 녹이 같은 이치 • 유점사 53불

• 백파선사, 서고청 • 백은선사의 부동심

• 한 사문의 나무아미타불 • 달마대사와 혜가대사

• 한산과 습득 • 허주와 영산

• 오백생 여우 보 • 조법사의 열반 시

• 배도의 관상이야기 • 혜충국사와 대이삼장

• 거꾸로 서서 죽다 • 부설거사 일가족의 성도담

제 3부 식물의 사주

• 식물의 사주 • 공자의 7일간 굶주림 • 안연과 팔산

• 진시황과 사구 • 해 뜨면 일하고 • 명협과 지영초

• 탕왕의 기도 • 주공의 구국일심

• 월상에서 전한 흰 꿩 • 길일과 흉일

• 위수의 곧은 낚시 • 광무황제와 모략자

• 임상여와 염파 • 의형제 • 삼고초려

• 송홍의 뜻 • 왕절 선생에게 알리지 마십시오

• 부자 석숭 • 소공이라는 사람 • 문을 지킨 후영

• 정북창의 두 아들 • 박문수와 조태채

• 노총각의 소원 • 숙종대왕의 의형제

• 사람 같지 않는 놈 • 율곡의 두 제자

• 이우경의 후회 • 재상의 수염 • 황희와 두문동

• 황희와 봉물 • 검정 소와 누렁 소 • 구봉과 사계

• 이순신 장군의 충성 • 이순신 장군의 제문

• 수레에서 내려가다 • 삼백 냥에 산 금언

• 조정암 가시는 길 • 자력양성 • 김정호의 지도 제작

• 서화담과 황진이 • 이인의 장사 법

제 4부 황우야 짐이 붕어하신다

• 대영제국에 어찌 그런 일이 • 누가 유고의 집에 실례를

• 어머니의기도 • 타고르의 시 • 두 대학생의 차이

•문장가의 길 • 눈(雪)이라는 시 • 사당에 지게를 놓은 까닭

•새끼줄대로 엽전을 • 부인의 지혜 • 소인의 심성

•오내진 이야기 • 박혜련화의 신성

•한 사람의 원심이라도 풀려야 • 존경받는 방법

•목인과 토인 • 발바닥 사마귀상 • 배움이 없는 도시관

• 형수의 처사 • 도련님 덕분에 양반 한번

• 허석계와 오금 • 딸 3자매 • 평강공주의 정신

• 일 년에 생일이 두 번 • 부자간의 싸움

• 월천 좀 하여 주게 • 구수미 최일양대 • 오백년 이어온 불씨

• 돈 빌려간 사람 •여우귀신사당 • 천어g語)

• 첫날밤에 논에 간 신랑 • 두 친구의 차이 • 파리대감

• 쥐의 보은

제 5부 이순신장군의 나라 사랑

• 이순신장군과 진린 • 적덕정승의 아량 • 탐욕으로 죽다

• 재물에 대한 욕심 • 진초오국의 외밭 • 이문원의 장난

• 부하 거느리는 법 • 아는 것을 모르는 척 • 점원과 약속

• 성공의 뜻 • 오봉과 악습 • 자하의 세 가지 죄

• 교우의 신의 • 뉘 안의 쌀 • 대 잎의 풍정

• 핀 한 개의인격 • 오천대감 9 • 최고의 광부

• 부루나의 전법

Won Symb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