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머리말
어느 날 한 후진이 찾아왔다, 「좌선의 방법 해설」처럼 무시선법도 해설서를 만들어 달라 한다. 나는 ‘「마음수업」에 거의 담겨 있지 않느냐’고 했으나 본문 중심의 해설서를 요구한다. 보내 놓고 생각하니 모처럼 후진의 요구를 저버릴 수 없어서 며칠 고민하면서 본문 법문을 봉독하다가 해설의 필요를 느끼고 집필을 하게 되었다. 본문 내용이 비록 평범한 내용이나 선의 출발부터 궁극의 경지까지를 압축적으로 표현했고, 무시선의 방법 또한 큰 강령만 제시했으므로 그에 따른 다양한 경우를 조금이라도 밝히는 것이 펼요할 듯하여 집필에 착수했다.
그러나 가급적 본문의 범위를 넘지 않으려 노력하면서 서로 연관된 내용이나 방법적 실제를 조금 구체화 하고자 했다. 다만 이 공부의 실제에 들어서려면 「정전」에 밝힌 정기훈련법과 상시훈련법을 일기법과 함께하면 쉽게 공부길을 잡을 수 있으리라 생각되니 그 내용은 「정전」수행편 훈련법 부분을 참고하기 바라고 약간의 설명만 부연했다.
아무쪼록 이 해설서가 공부길을 찾는 초입자들에게 길잡이가 되기를 염원하며, 따라서 우리의 수행법으로 무등등한 대각 실력을 갖춘 도반들과 무상행의 대보살 실력가들이 무수히 배출되기를 염원하는 바이다. (좌산 이광정)
ABOUT THE AUTHOR 
좌산 이광정 상사 (Venerable Chawsan)
저자는 원불교 최고 어른인 상사(上師)로 원불교 창시자인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 정산 송규 종사, 대산 김대거 종사에 이어 4대 종법사(교단 최고지도자)를 지냈다.
마음공부에서 얻은 지혜를 바탕으로 개인의 건강부터 정치와 경영과 삶의 길까지 구체적 해법을 안내해주는 실천적 구도자이자 자상한 미륵산 할아버지로 통한다.
20대에 얻은 간경화로 간의 절반이 고사된 상태에서 40대에 당뇨병까지 얻어 수차례 생사의 갈림길에 서기도 했지만, 잘 먹고 푹 쉬어야 하는 간경화와 조금 먹고 많이 운동해야 하는 당뇨병의 상극 사이에서 철저한 마음수련과 사상의학에서 터득한 섭생법으로 칠십대 후반인 지금도 사오십대 못지않은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2006년 종법사에서 퇴임한 후 전북 익산 미륵산 자락에서 머물며 세계평화와 남북통일, 그리고 현대인의 마음치유라는 세 가지 원을 세우고 수행 정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정전 좌선의 방법 해설』, 『마음수업』, 『믿음수업』, 『Commentary on the Dharma of Timeless Zen』, 『The 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The Method of Sitting Meditation』 등이 있다.
CONTENTS 
머리말
I . 무시선법(無時輝法)의 단락별 본문
II . 서설
III. 본문 해설
1. 선의 취지
2 . 대승선법
3. 선을 할 수 있는 때와 곳
4. 선의 실제
5. 선의 결과
6. 선에 대한 편견
7. 선의 강령
IV. 무시선법과 교강 9조(일상수행의 요법)
V. 무시선법과 정기훈련
VI. 무시선법과 상시응용 주의사항
VII. 무시선법과 교당 내왕시 주의사항
VIII. 무시선법과 동정 간 삼대력 얻는 빠른 방법
IX. 무시선과 외정정 내정정
X. 무시선과 목우십송(牧牛十頌)
XI. 무시선과 단전주(丹田住)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