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본회(불법연구회)는 어떠한 사명을 가졌으며, 시대는 어떠한 시대이며, 대종사는 어떠한 어른이며, 법은 어떠한 법이며, 실행경로는 어떻게 되었으며, 미래에는 어떻게 결실될 것인가를 잘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문 머리말 중에서)
산수교당 서문성 교무의 <주석 불법연구회창건사>가 출간됐다. 이 책은 정산종사의 불법연구회 창건사, 제1회 원기12년까지의 기록을 가로쓰기로 편집하고 현대적 문장과 저자의 주석을 더했다.
저자는 “교단이 한 세기가 지나고 새로운 2세기를 맞이한 지 몇 해가 흘렀다. 변화하는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며 교단이 더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2세기를 출발하며 소태산 대종사의 말씀을 다시 받들고 싶어서 <대종경선외록>을 공부했다”며 “그 후 소태산 대종사가 교단을 창업하고 제자들을 지도했던 정신을 찾기 위해 <불법연구회창건사>를 공부했다. 모르는 한자를 찾고, 각종 사전을 보면서 자료를 모았다. 이 책은 몇 개월간 소태산 대종사의 경륜을 조금 더 이해하게 되어 느낀 행복을 담아 활자화 한 것이다”고 밝혔다.
제1편 제1회 12년과 부록 인물주석, 대종사약전, 영인본 <불법연구회창건사>로 구성된 이 책은 <회보> 제37호~제49호의 영인본(원불교 자료총서)을 사용했으며, 국한문이 혼용된 원문과는 달리 독자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부분만 한문을 썼다.
주석 기준은 일반적으로 읽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단어를 기준했으며, 주석의 문장은 일반적 표현과 종교적 표현을 상황에 따라 함께 사용했다. 오자와 탈자를 바로잡으면서 시대의 변천에 따른 띄어쓰기를 사용했고, 원문에 관련사진을 덧붙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신문 기사 – [바로가기] 이 달의 책 / 주석 불법연구회창건사, 1/15/2019, 원불교신문)
* 불법연구회창건사(개요, 구성, 의의)에 대한 이해, 원불교 대사전에서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원불교에 대한 이해, 원불교 대사전에서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소태산 대종사에 대한 이해 – [바로가기]
* 원불교 전서 내용 살펴보기 – [바로가기]
* 원불교 경전법문집 살펴 보기 – [바로가기]
ABOUT THE AUTHOR 
륜산 서문 성 교무
전북 장수 출생으로
1987년에 원불교에 출가하여 영산선원을 졸업했다.
원불교 동안양교당 부교무와
변산성지에 있는 원광선원 교무, 성주성지 초전개척지 교무, 중앙총부 교화훈련부 순교무을 거쳐,
현재 산수교당 주임교무로 있다.
저서로는
「대종사님 찾아 떠나는 성지여행」과
「전문박물관 둘러보기」가 있으며
「마음을 보는 지혜」1, 2
「대종사님 그때 그말씀」
「전통사찰의 창건 설화」등 다수를 엮었다.
CONTENTS 
주석자의 변
제1편 제1회 12년
제1장 대종사의 탄생
제2장 대종사의 유시와 발원동기
제3장 대종사의 구도정성과 고행
제4장 입정 상황
제5장 출정과 대각
제6장 대종사, 불법에 대한 내정
제7장 대종사, 현 사회를 보신 첫 감상
제8장 공부인의 첫 집회
제9장 단원의 첫 조직
제10장 대종사의 교화방법과 본회 기성조합
제11장 방언역사와 회실 건축
제12장 단원의 기도
제13장 대종사, 불법에 대한 선언
제14장 대종사의 봉래산 수양과 본회의 준비공작
제15장 본회의 창립
제16장 창립 당년의 회세
제17장 훈련법의 실시
제18장 학력고시와 학위등급법의 제정
제19장 사업고시법의 제정
제20장 각항 처리
제21장 본회 의례의 발표
제22장 4기념의 발표
제23장 본년도 공부와 사업의 개관
제24장 유공인대우법의 발표
제25장 신분검사법의 발표
제26장 본년도 공부와 사업의 개관
제27장 제1회 기념총회
제28장 제1회 기념의 당년 회세
<![if !supportEmptyParas]> <![endif]>
부록
1. 인물 주석
2. 『대종사약전』
3. 영인본 『불법연구회창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