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S 
DESCRIPTION 
『중도의길 성인의길』은 공자의 <중용>을 해설한 책이다. <중용>에서 공자의 도가 실천되어 보여준 인격과 생활 그리고 효와 정치, 도를 이루기까지의 성(誠)에 대한 말씀이 들어있다.
ABOUT THE AUTHOR 
경산 장응철 상사는 원불교 성직자로 1940년 전남 신안군 장산면 다수리에서 출생했다. 1960년에 당시 원불교 종법사인 정산종사를 뵙게 되면서 ‘정치가가 되려는 꿈’을 접고 원불교에 입문과 동시에 전무출신을 서원했다.
4년 동안 교정원 총무부 서기를 마치고 1961년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에 입학, 1968년 졸업했다. 첫 발령지로 원불교의 성직자들을 양성하는 영산선원에서 근무하였다. 이후, 원불교 교정원 총무부 과장, 서울사무소 사무장, 총무부장, 청주교구장, 영산대학학장, 영산사무소장, 서울교구장, 교정원장, 중앙중도훈련원장을 역임했다. 1975년 정남을 서원하였으며, 1988년 정수위단원에 피선되었고, 2000년 종사 서훈을 받았다. 2006년에 원불교 최고지도자인 종법사에 추대되었다.
종법사 재임시절, 대산종사가 제창한 세계평화를 위한 3대 제언(종교연합운동, 세계공동시장개척, 인류심전계발운동)의 실현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는 등 지난 12년 간 종교연합운동과 종교간 협력을 통한 세계 평화에 노력해 온 경산 상사는 2018년 은퇴 후 원불교 세 번째 상사로 지내고 있다.
주요 저사로는 일원상서원문 《마음달 허공에 뜨다》, 참회문 《죄업으로부터의 자유》, 《작은 창에 달빛 가득하니》가 있고, 불조요경 중에서 금강경 《생활 속의 금강경》, 반야심경 《자유의 언덕》, 수심결, 목우십도송《마음소 길들이기》, 고경《노자의 세계》《육조단경》등의 해설서가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하늘과 같은 우리의 본성
제2장 군자의 중용
제3장 중용과 도덕의 완성
제4장 중용이 실천되지 못한 까닭
제5장 공자의 탄식
제6장 순임금의 중용
제7장 일반인들의 어리석음
제8장 안회의 중용
제9장 중용 실천의 어려움
제10장 참으로 강한 것이 중용
제11장 군자의 표준
제12장 군자가 실천해야 할 크고 넓은 도리
제13장 도덕은 사람다움을 가르친다
제14장 군자의 삶의 태도
제15장 도는 가까운 곳에서 실천해야 한다
제16장 천도의 위대함
제17장 순임금은 큰 효자
제18장 문왕의 큰 덕스러움
제19장 무왕과 주공의 효도
제20장 국가를 통치함에 대하여
제21장 정성스러우면 밝아진다
제22장 지극한 정성이라야 천도에 합일한다
제23장 정성은 한 분야를 완성한다
제24장 지극한 정성은 귀신과 같다
제25장 정성은 만사를 이루는 시작과 끝이다
제26장 정성은 쉼이 없다
제27장 위대하도다 성인의 능력이여!
제28장 그 사람이 아니면 그 일을 할 수 없다
제29장 성인의 자격요건
제30장 공자는 요.순의 법을 이었다
제31장 성자의 크신 공덕
제32장 성인의 큰 덕스러움
제33장 성인의 덕스러움은 하늘과 합한다